2008년 6월 9일 월요일

출산 전 준비 할 것

♣출산전 준비

1. 입원에 필요한 물품을 챙긴다.
출산예정 2개월전에는 입원에 필요한 물품들을 가방에 챙겨놓아 산기를 느끼면 바로 병원으로 가도록 준비해 놓는 것이 좋다. 병원에 따라 준비물품들이 다르고 출산방법에 따라 입원기간이 달라지므로, 이를 고려하여 준비하도록 한다.

2. 집안일을 정리해 놓아야 한다.
출산을 위해 병원에 가고 산후조리를 친정이나 시댁에서 하게 된다면 장기간 집을 비우게 되므로 집안을 정리해 놓는다. 청소를 하고, 세탁소에 맡겨놓은 옷을 찾아 놓는다거나 신문이나 우유 등 배달물건들은 일정기간동안 넣지 않도록 해 놓는다. 또한 남편이 혼자 집에 있을 경우를 대비해 밑반찬을 마련해두고, 두번째나 세번째 출산이라면, 큰아이들은 누가 돌볼 것인지도 미리 정해두는 것이 좋다.



3. 산후조리할 곳을 정해둔다.
산후조리를 다른 곳에서 하게 된다면 산모와 아이에게 필요한 용품들을 미리 그곳으로 옮겨놓도록 한다.

4. 비상연락망을 취해 놓는다
산기를 느껴 바로 병원으로 가게 되었을 때, 남편이나 가족들에게 연락이 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해 미리 비상연락망을 만들어 둔다. 예를들면 남편의 동료, 가까이 사는 친지나 친구에게 부탁해 가족에게 연락이 가능하도록 조치해둔다.

5. 입원비를 준비해둔다.
출산의 방법은 자연분만을 예상했더라도 제왕절개를 할 수도 있고 기타 응급상황이 발생하여 다른 시술을 할 수도 있으므로 출산비용은 넉넉하게 준비해 둔다.

6. 병원에 갈때 챙겨갈 물품들...
입원할때 필요한 물건 의료보험증, 산모수첩, 도장, 공중전화카드, 전화번호 수첩, 약간의 현금 출산후 필요한물건 산모용패드(신생아용 기저귀로 대용), 커다란 티셔츠나 임신복 상의, 두툼한 양말, 큼직한 팬티, 기저귀커버, 배냇저고리/가운, 세면도구와 빗, 기초 화장품, 속싸개, 겉싸개,수유용 브래지어, 기타 라디오나 책 등..

7. 아기를 위한 준비
예정 일 두 달 전까지는 대부분의 아기 용품을 준비하는 것이 보통인데, 그것은 임신 후반기에는 언제 아기가 태어날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이다. 언제 아기가 나오더라도 당황하지 않고 대처할 수 잇도록 미리미리 준비해 둔다. 아기 용품은 분만 후 한두 달 동안 쓰일 것들을 사두면 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